미래 철도 DB

초기 ] [ 지역별 ] [ 개통시기별, 개통된 것 ]


월곶-판교선


▶노선안내

미래철도DB 노선이름

월곶-판교선 (옛 수도권 남부순환선 및 옛 제2공항철도의 일부)

사업상황

  시공

사업성격

  신설

영업기관

  한국철도공사

건설기관

  국가철도공단

사업구간(역)

  • (수인선 직결) 송도~연수~
  • 월곶~장곡~시흥시청[서해선 환승]
  • ~<신안산선이 건설하여, 월곶판교선이 사용하는 구간> 시흥시청~매화(도창동)~장래건설역(가학동지석묘 부근)~KTX광명역
  • ~KTX 광명역~만안~안양[1호선]~안양운동장
  • ~인덕원역[4호선, 인덕원동탄선] ~청계(청계파출소 앞)~서판교(중산운사거리)~ 판교역[신분당선]
  • ~(경강선 직결)

노선길이

34.155km   (11개역)

상하단선 : 8.098㎞, 복선 : 26.057㎞ (신안산선 공유구간 : 9.80㎞ 별도)

노선규격

전기

  AC 25000V

신호

  ATP

배선

  복선

차량

  • 통근형 전동차 16편성 (본 사업 8편성, 경강선 사업 8편성)
  • 특급형 전동차(EMU-250) 8편성  (본 사업 6편성, 여주원주선 사업 2편성)
  • 둘다 6량 1편성
  • 차량기지
    • 경정비
      • 특급형: 시흥, 부발, 강릉
      • 통근형: 시흥, 부발
    • 중정비
      • 특급형, 통근형: 평내 (또는 덕하)

개통시기

  2028년 말

관련노선

참고사항

  • (제2공항철도) 옛 인천시 타당성 조사자료 - 3안 고려
    • 1안(경인선 연결) : 인천국제공항-인천역(21.8km)
    • 2안(인주로(만수로) 연결) : 인천국제공항-인천역-인주로(만수로)-광명역(46.3km)
    • 3안(수인선 이용) : 인천국제공항-인천역-수인선-광명역(49.3km)
      • 사업순서 (3안)
        • 1단계 : 인천국제공항-인천역(21.8km)
        • 2단계 : 소래역-광명역(16.9km)
  • 수인선 및 성남-여주선과 직결되는 것임
  • 원래 제2공항철도와 수도권 남부순환선이 별도로 추진되었으나, 월곶-판교선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음
  • 총 11개역
    • 송도역: (개량)
      • 현 쌍섬식 승강장 북측에 유치선 2선 추가
      • EMU-250 (특급형 전동차) 시발역
    • 연수역: (개량)
      • 현 쌍섬식 승강장에 유치선 6선 추가
      • 통근형 전동차 시발역
    • 월곶역: (개량)
      • 현 쌍섬식 승강장 외측에 선로와 상대식 승강장 추가하여 수인선과 직결되도록 함 (분기역)
    • 장곡역
      • 상대식 승강장, 지하 2층
    • 시흥시청역
      • 시흥시청-KTX광명역 구간은 신안산선과 공유함
      • 시흥시청역은 상대식으로 건설하여 합류분기에 대한 여유 승강장이 부족함
      • 시흥시청역 북쪽으로 소사원시선과 신안산선의 분기도 당초 입체교차에서 평면교차로 변경
    • 광명역: 복층형 쌍섬식
    • 만안역
      • 상대식 승강장, 지하 3층
    • 안양역
      • 상대식 승강장, 터널+개착  지하 5층
    • 안양운동장역
      • 상대식 승강장, 지하 3층
    • 인덕원역
      • 상대식 승강장, 지하 3층
    • 청계역
      • 쌍섬식 승강장, 지하 3층 (특급형과 통근형 추월대피역)
    • 서판교역
      • 상대식 승강장, 지하 3층
    • 월곶역 지상이고, 시흥시청역으로 갈 때 지하로 진입하며, 나머지는 전구간 지하
  • 열차운행계통 (잠정)
    • 특급형 전동차
      • 30분 시격 1일 36회 운행
        • 송도-여주 14회   (62분 소요)
        • 송도-서원주-원주 11회  (76분 소요)
        • 송도-서원주-강릉 11회  (110분 소요)
        • 선택정차 방식
          • 패턴1: 송도-광명-인덕원-판교-부발-평창-강릉
          • 패턴2: 송도-시흥시청-광명-판교-광주-여주-서원주-강릉
    • 통근형 전동차  (급행열차 없음)
      • RH 15분, NH 20분 시격, 1일 58회 운행
        • 연수-부발  14회  (87분)
        • 연수-여주  44회  (99분)
  • 열차운행계통과 소속노선과의 비교
    • 신안산선 열차가 서해선 시흥시청-원시 구간을 운행
    • 월곶판교선 열차가 신안산선 시흥시청-광명역 구간을 운행
    • 월곶판교선 열차가 수인선 송도-월곶 구간을 운행
    • 서해선 열차가 신안산선 원시-송산차량기지 구간을 운행

 

▶사업상황

1999/12

제2공항철도: 건설교통부 국가기간교통망 계획에 포함(중장기 검토대상사업)(완공목표 미정)

2000년

제2공항철도: 인천광역시 타당성 검토 완료

2001/12

  수도권 광역교통망 계획(건설교통부)에 포함

2004/4

    제2차 수도권광역교통5개년계획(건설교통부) 포함

2005.12

제2공항철도: 국토연구원 >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안)에   포함

2006.6

건설교통부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추가 검토대상사업으로 포함 (완공목표 미정)

2007.11.21

건설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에 추가검토사업으로 포함

2008년

  • 지자체들이 제2공항철도 대체로 추진하는 월곶-판교선 관련 진행상황
    •   2008. 01.     월곶~광명선 예비타당성 조사 요청(건설교통부→기획예산처)
    •   2008. 02.     월곶~판교선 철도 조기건설을 위한 공동건의문 제출 (  ※ 성남, 안양, 광명, 시흥 → 기획재정부 )
    •   2008. 03.     2008년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심의(기획재정부) : 미선정
    • 2008. 06.     월곶~판교선 복선전철 추진협의체 협약체결  ※ 시흥, 광명, 안양, 의왕, 성남 참여
    •   2008. 06.     월곶~판교선 조기건설을 위한 공동건의문 국토해양부 제출
    •   2008. 08.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요청(국토해양부→기획재정부)
    •   2008. 09.     추진협의체 공동건의문 기획재정부 제출
    •   2008. 11.     2008년 하반기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심의(기획재정부) : 미선정  → 사유 : 신안산선과 일부 노선 중복

2010.3

2010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대상 사업 선정

2010.5

경기도-> 대한교통학회: 경기도 도시철도 기본계획 용역 착수

2010 하반기

기획재정부 >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0.77, AHP=0.447

2011.1

국토해양부 > 국가기간교통망계획 2차 수정계획에 포함

2011.4.3

국토해양부 >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전반기(2011~2015) 착수사업으로 포함

2011.8

기획재정부 > 2011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재조사)

2011. 08 ~ 2012. 05

월곶~판교 복선전철 예비타당성조사 결과(한국개발연구원)

  • 기획재정부 제2차 재정사업평가자문회의 철도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개선 반영
  • GTX 미시행을 전제로 타당성 확보(GTX 시행 시 B/C=0.89, AHP=0.457, GTX 미시행 시 B/C=1.04, AHP=0.535)

2011. 11 ~ 2014. 01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예비타당성조사(한국개발연구원)

  • 전 구간 개통 시 B/C=0.84, AHP=0.431
  • A노선만 개통 시 B/C=1.33, AHP=0.595

2014. 08

월곶~판교 복선전철 타당성재조사 의뢰(기획재정부)

  • GTX A노선의 사업추진이 확정되어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됨에 따라 월곶~ 판교 복선전철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상이해짐.
  • 총사업비 관리지침 제49조 제1항 제7호
2015.11 기획재정부 > 타당성재조사 결과 통과  B/C=0.98, AHP=0.521
2016.3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착수
2016.3

월곶~판교 복선전철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 착수

2016.4

전략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

2016.5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회 심의 결정내용 공개

2017.7 기본계획안 마련 및 관계기관 협의
2017.7

국토교통부 (공고 제2017–1124호) > 월곶~판교 복선전철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공람 및 주민설명회 개최 공고

2017.11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 완료
2017.12 행정안전부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완료
2018.8 기획재정부 총사업비 협의 완료
2018.9~10 추가역 신설 관련 지자체 협약 체결
2018.9: 시흥시 (장곡역)  633억원
2018.10: 안양시 (만안역) 1308억원
2018.11.6 국토교통부 >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2019.2.8 한국철도시설공단 > 노반 기본설계 착수
2019.10.31 대도시권광역교통위윈회 > 광역교통비전 2030 에 포함
2021.4.26 착공
2021.5.20

국토교통부 제13회 역명심의위원회 > 본 노선의 명칭을 ‘경강선(시흥-성남)’으로 의결

2022.1

인천광역시 > 월곶판교선 KTX이음·인천발 KTX 인천구간 추가 정차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발주
(월곶판교선 KTX이음의 인천논현역 추가정차,  월곶판교선 KTX이음과 인천발KTX의 인천역 추가정차, 제2경인선 사업화 방안)

 

미래철도DB 해설

  • 수도권 남부의 동서축 철도이다. 100번 고속도로외에 다른 방법이 마땅치 않았던, 수도권 남부 동서간 이동에 숨통을 틔워줄 것이다.
  • 전철역이 없었던 판교신도시 서판교 지역에 서판교역을 공급하는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 제2공항철도 사업의 일부가 선추진되는 것이며
  • 인천공항-고속철도 광명(제2공항철도, 월곶-판교선) , 고속철도 광명-판교(월곶-판교선) , 성남여주선, 이천-충주-문경선, 문경-점촌(기존 문경선), 점촌-김천(기존 경북선), 김천-진주~거제 복선전철로서 제3 기간 철도축인 " 중부내륙선" 의 일부가 된다.
  • 또한 경강선, 여주원주선을 통해 강릉까지 연결됨으로서 인천 송도역부터 강릉역까지의 연결도 가능해진다.

(update : 2022/12/29)


사진모음

노반 기본설계 노선도

기본계획 기준 확정 노선도

2018년 기준 노선도, 특급형 전동차(EMU) 정차역 안내

2017년 기준 각종 노선도, 역 안내 그림

2017년 최신 노선도

 

광역교통비전 2030 자료그림 (저작권: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초대형 노선도

각종 자료사진 모음

노선도 (국토교통부)

2015년 기준 최신 노선도(신안산선 노선도이지만, 당 노선도 일부 그려져 있음)

대형노선도 보기

노선안내도 (저작권: 기획재정부)

월곶-판교선

노선안내도 (저작권: 기획재정부)

제2공항철도 (월곶-판교 노선의 일부)

노선안내도 (저작권: 건설교통부) - 녹색점선, 안양 서쪽에서 광명역으로 감

인덕원-병점

최종 결정 노선도 (저작권: 국토해양부)
월곶-광명선(신안산선 시흥방면 포함)이 사실상의 제2공항철도이며 광명-판교선은 이 노선과 직결

신안산선

시흥시청의 월곶-판교 추진 노선 (저작권: 시흥시청)
(월곶-시흥시청 구간과, 신안산선 시흥시청-광명 구간이 사실상의 제2공항철도가 된다)

  노선도 (저작권: 국토해양부)

신분당선 연장

노선안내도 (저작권: 인천경제자유구역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