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철도 DB

초기 ] [ 지역별 ] [ 개통시기별 ]


경강선(원주~강릉)


▶노선안내

미래철도DB 노선이름

경강선(원주~강릉)

사업상황

완공

사업성격

신설

영업기관

한국철도공사

건설기관

한국철도시설공단

사업구간(역)

  • 서원주~만종~횡성~둔내~평창~진부(오대산)~대관령[신호장]~남강릉[신호장]~강릉(현 강릉역 위치(반지하))
    • 각역 조감도
    • 강릉에서 남강릉 신호장 방면으로 남쪽으로 분기하여 차량기지 설치
  • 강릉삼각선(남강릉-안인) (1.9km)

노선연장

  120.7km

노선규격

전기방식

  교류25000V

신호방식

  ATP

배선

  복선

차량

향후 EMU-250 준고속 차량 (첫 개통시에는 차량이 없는 관계로 KTX-산천 운행)

개통시기

  • 본선 및 반지하 강릉역: 2017년 12월 22일
  • 강릉삼각선: 2020년 3월 2일
    • KTX열차 하루 왕복 8~14회가 정동진-묵호-동해로 운행
    • 기존 강릉역 착발 무궁화호는 동해역으로 단축
    • 강릉-동해 왕복 셔틀열차 하루 20회 신규 운행

관련노선

중앙선 복선화 (2)(덕소-서원주) , 중앙선 복선화 (3)(서원주-제천), 영동선 강릉역 이설, 평창올림픽 지원 기존선 고속화

참고사항

  • 공사노선명: 원주~강릉선
  • 중앙선 분기점: 청량리 기점 87.072km
  • 선로 구조
    • 서원주역 동쪽에서 입체교차로 복선 분기하여 만종역으로 연결
    • 동화역은 원주강릉선 하행선만 지나가는 관계로 폐지
    • 만종역은 존치 (약간 서쪽으로 이설)
    • 만종역 전후 구간, 현 중앙선 활용
    • 대관령 산악구간에는 루프식 터널을 설치하려고 하였으나, 직선화로 변경(약 20km짜리 터널 설치)
    • 선로: 200km/h 급
  • 한때 BTL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재정사업으로 결정
  • 원주강릉선 강릉 종착역 위치: 현 강릉역
  • 운행계획
    • 운행계통
      •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중 (2017/2/1~2/28) 편도 51회
        • 인천공항~강릉 16회(운행간격 1시간)
          • 1/26~1/31과 3/1~3/22에는 편도 4회(11시,13시,17시,19시)
        • 서울~강릉 10회(운행간격 1~3시간)
        • 청량리~강릉 10회(운행간격 1~2시간)
        • 상봉~강릉 15회(운행간격 50분~1시간 20분)
      • 올림픽 이후
        • 서울역 또는 청량리역~강릉 : 주중18회, 주말 26회
    • 정차역: 인천공항, 검암, 서울, 청량리, 상봉, 양평, 만종, 횡성, 둔내, 평창, 진부, 강릉
    • 운행최고속도: 중앙선 구간 180km/h, 경강선 구간 250km/h

 

■진행상황

1996. 5

서울대 공학연구소 타당성 조사 > 수익성 있는 노선

1997. 4 ∼ 1999. 12

횡성~강릉간 노반 기본설계 시행

  1999/12

  국가기간교통망 계획(1999/12, 건설교통부)에 후반기 계획(2010~2019년)으로 포함

2000. 3 ∼ 8

  타당성점검 용역 시행 (교통개발연구원)

  2002년

  강릉역 이설 - 시공중

2002년 11월

국회예산 배정시, 철도청은 본 사업에 대해 2003년도 예산을 요구하지 않았으며, 2004년에 예산이 투자되기 시작하여, 2005년부터 사업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임.

2002.12

  평창동계올림픽유치관련 관계부처 협의

2003.06~2003.11

기술조사 완료

2003.12

대형공사입찰방법심의(기타5개, 대안5개공구)

2004.9

기본설계 발주

2004.11

기본설계 시작

2005.9

주민설명회

2006. 6.12 ’07년 민간투자대상사업(BTL) 선정(건교부)
2006. 9~‘07.2 타당성 재검증(기획예산처,한국개발연구원)
2006. 11~’07.6 민자적격성조사(VFM) 및 RFP작성(건교부, 한국교통연구원)

2009.9

한국개발원 공공투자관리센터(KDI PIMAC)에 민자적격성 검토 요청
2012.6.1
  • 공사착공: 6~10공구
  • 기공식 (강릉역 광장 11시)
2012.10 강릉역을 반지하화 하기로 결정
2013.4 후속구간 착공
2013.12 원주강릉선과 연계되는 영동선 강릉시내 도심 구간 지하화 확정
2014.7 강릉시 구간 착공
2015.10 국내 최장 산악터널 대관령터널 (21.7km) 관통식
2016.8.26 서원주-만종(6.8km) 개통 (신선으로 운행선 변경)
2017.2~3 전구간 도보 점검
2017.3~4 민관합동 안전점검
2017.4~5

구조물 품질점검

2017.5.10~19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공사 > 합동점검
2017.6.1

사전점검

2017.6.29 국토교통부 > 사업용 철도노선 지정변경 고시 (2017-428호)

2017년 7월 14일

(삼각선 구간) 토지 경계·분할측량 및 지장물 조사 완료

2017.7.26 선로변 대청소
2017.7.31~ 시운전열차 투입하여 170km/h부터 단계별 증속시험, 궤도전차선 동적시험 등 분야별 성능검증을 위한 시설물 검증
(8.7: 230km/h, 8.8: 250km/h)

2017년 10월 16일∼11월 3일

(삼각선 구간) 토지보상계획 열람

2017.10.31~11.30 영업시운전 (인천공항~강릉)
2017.12.21 개통식 (14시 강릉역, 국무총리 참석)
2017.12.22 개통(상업운전 시작)

2017년 12월 21일∼2018년 1월 22일

(삼각선 구간) 손실보상 협의

2018년 1월 30일

(삼각선 구간) 주민설명회 개최(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설명 등)

2018년 2월 07일

(삼각선 구간) 토지 수용재결 신청(철도공단→중앙토지수용위원회)

2018년 2월 13일

(삼각선 구간) 수용재결 신청에 따른 열람공고 의뢰(중앙토지수용위원회→강릉시)

2018년 2월 19일

(삼각선 구간) 열람공고 의뢰에 대한 회신(강릉시→중앙토지수용위원회)

2018년 3월 28일∼4월 16일

(삼각선 구간) 수용재결내용 열람공고(강릉시→주민)

2018.4.16 국토교통부 > 영업노선명을 경강선KTX에서 강릉선KTX로 변경 (국토부 고시 노선명은 경강선 유지)
2019.9.3~5

(삼각선 구간) 사전점검 (철도공단, 교통안전공단 공동) 노반, 궤도, 전철전력, 신호통신 등

2019.9.16 국토교통부 > 고시 제2019-476호  사업시행기간 변경: 2019년 12월 31일 -> 2020년 12월 31일
2019.10.22~25

(삼각선 구간) 시운전(20회) 및 시설물검증시험

2019.11.5

(삼각선 구간) 국토교통부 > 고시 제2019-602호  > 사업용 철도노선 지정 > 강릉삼각선(신설)

2019.12.9~19

(삼각선 구간) 영업시운전

2019.12.14

한국철도시설공단 > 강릉-동해 구간 KTX운행을 대비한 방호울타리 등 시설 완료
(단, 감추사 앞 무단횡단 구간 제외: 지자체 등과 안전요원 배치, 육교 설치 등 협의중)

2019.12.23~2020.1.7 강릉삼각선~동해역 시설물 검증시험
2020.3.2 동해행 KTX  운행 시작

 

미래철도DB 해설

  • 태백선 외에   영동과 영서를 잇는 또 하나의 철도, 국가기간교통망계획의 일부이다.
  •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위한 인천공항+수도권 연결 교통망 역할도 한다.
  • 인천공항에서 출발한 열차가 공항철도-경의선-중앙선을 따라 원주강릉선에 진입하여 강릉역까지 운행된다.

(update : 2020/3/2)


사진모음

서원주-만종 구간 노선도

남강릉-강릉 구간 각종 사진 모음

진부, 평창, 강릉역 위치도

전구간 대형 노선도

전구간 초대형 노선도3 (강릉시내 구간 확대도)

전구간 대형 노선도

전구간 대형 노선도2 + 인천공항~평창 연결 개념도

원주시 구간 대형노선도

노선안내도(저작권 : 한국철도시설공단)

원주-강릉선

노선안내도(저작권 : 한국철도시설공단)

원주-강릉선

노선안내도(저작권 : 건설교통부)

원주-강릉선

노선안내도(저작권 : 건설교통부)

원주-강릉선

노선안내도(저작권 : 한국철도시설공단)

노선안내도(저작권 : 철도청)
(아래 사진엔 루프식 터널이 있는 것으로 나와 있으나, 실제로는 30km짜리 직선터널로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