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철도 DB |
[ 초기 ] [ 지역별 ] [ 개통시기별, 개통된 것 ] |
▶노선안내 |
||
미래철도DB 노선이름 |
제주도 신교통수단 (트램) |
|
사업상황 |
|
|
사업성격 |
신설 |
|
영업기관 |
제주도, (가칭)제주교통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
건설기관 |
제주도, (가칭)제주교통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
사업구간(역) |
|
|
노선길이 |
↑ |
|
노선규격 |
전기 |
- |
신호 |
- |
|
배선 |
- |
|
차량 |
- |
|
개통시기 |
- |
|
관련노선 |
- |
|
참고사항 |
|
▶사업상황 |
|
2010.6 |
우근민 제주도지사 공약 |
2010. 8. 26 |
신교통수단 도입 사전타당성조사 연구용역 시행계획 수립 |
2010. 11. 3 |
신교통수단 도입 사전 타당성조사 연구용역 계약체결(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0.11.8 ~ 2011.5.6 |
‘신교통수단 도입 사전타당성조사’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용역 시작
|
2011.4.11 |
연구용역 중간결과 발표
|
2011. 10. 13 |
제주도 > '신교통수단(트램) 도입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시스템: 무가선 트램(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현대로템) |
2012.7.2 |
우근민 도지사 '민선5기 출범 2주년'기자회견 > 재정 형편 등을 고려해 당분간 더 이상 트램 도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밝힘 |
2016년 | 원희룡 제주도지사 < '제주교통 혁신계획' 발표 - 트램, 모노레일 등 신교통수단 도입계획 밝힘 |
2017.5.31 |
제12회 제주포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지속가능한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친환경 광역교통 인프라 구축방안' 세션에서 친환경 광역교통 인프라 구축 방안 발표 |
2019.12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에 신교통수단 포함 |
2021.1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제주형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JDC 미래전략수립용역에 수소전기트램 포함 |
2022.1 |
제주도 >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2022~2031)에 제주 트램(18km) 포함
|
2022.9.19 | 제주도 > 사전타당성조사 착수 (용역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미래철도DB 해설 |
|
(update : 2022/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