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철도 DB

초기 ] [ 지역별 ] [ 개통시기별, 개통된 것 ]


제주도 신교통수단


▶노선안내

미래철도DB 노선이름

제주도 신교통수단 (트램)

사업상황

  구상

사업성격

  신설

영업기관

제주도, (가칭)제주교통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건설기관

제주도, (가칭)제주교통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사업구간(역)

  • 옛 계획 (노면전차 트램)
    • '동서2안' : '노형로터리-삼무공원-시외버스터미널-보성시장-국립박물관' 7.29km, 8개 정거장
    • 또는  '동서 2-1안': '노형로터리-제주도청-제주공항-시외버스터미널-보성시장-국립박물관' 9.58km, 11개 정거장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단선, 일부 부분복선)
    • 제주국제공항~렛츠런파크~산화역사공원 (7개역)  30.76km
    • 차량기지: 제주시 애월읍
  • (2021년 기준) 트램
    • 단기: 제주공항-원도심-제주항 6km
    • 장기: 신제주-제주항 12km
  • (2023년 기준)
    • 노선1: 공항-환승허브 최단거리 연결 5.77km 10개역, 제주공항-연동-제주도청-노형동
    • 노선2: 해안지역 및 원도심 활성화 촉진 노선 5.97km 8개역, 제주공항-용담동-일도동-제주항
    • 노선1+2: 신도심과 원도심을 연결하는 균형발전 노선 11.74km, 17개역, 노형동 월산정수장-연북로-제주도청-제주공항-용담동-제주항
    • 노선3: 핵심 대중교통 축 활용 제주시 중앙부 관통노선 9.87km 13(12)개역, 제주공항-이도동-화북동-도련1동
    • 노선4: 제주시 외곽지역 개발 확장성 향상 노선, 10.48km, 12(11)개역, 제주공항-오라2동-이도1동-도련1동

노선길이

노선규격

전기

수소연료전지

신호

도로트램 복합신호

배선

-

차량

수소연료전지트램 (7편성)

개통시기

  -

관련노선

  -

참고사항

 

 

▶사업상황

2010.6

우근민 제주도지사 공약

2010. 8. 26

신교통수단 도입 사전타당성조사 연구용역 시행계획 수립

2010. 11. 3

신교통수단 도입 사전 타당성조사 연구용역 계약체결(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11.8 ~ 2011.5.6

‘신교통수단 도입 사전타당성조사’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용역 시작

  • 1안: 노형R~제주도청~제주공항~시외버스TR~동문시장~제주항~제주국립박물관
  • 2안: 노형R~삼무공원-시외버스TR~보성시장~제주국립박물관
  • 3안: 노형R~제주도청~시외버스TR~시청~동문시장~제주항~제주국립박물관
  • 4안: 노형R~제주도청~제주공항~시외TR~동문시장~제주항~제주국립박물관
  • 1안: 12.33km
  • 2안: 7.29km
  • 3안: 9.17km
  • 4안: 8.97km

2011.4.11

  연구용역 중간결과 발표

  • 바이모달트램이 제일 우수
  • 2안:    노형R-삼무공원-시외버스터미널-보성시장-제주국립박물관   B/C= 0.84
  • 네 노선 모두 경제성 부족

2011. 10. 13

제주도 > '신교통수단(트램) 도입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 민자유치시 경제성 있는 대안 2개
    • '동서2안' : '노형로터리-삼무공원-시외버스터미널-보성시장-국립박물관' 7.29km, 8개 정거장
    • '동서 2-1안': '노형로터리-제주도청-제주공항-시외버스터미널-보성시장-국립박물관' 9.58km, 11개 정거장

시스템: 무가선 트램(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현대로템)

2012.7.2

우근민 도지사 '민선5기 출범 2주년'기자회견 > 재정 형편 등을 고려해 당분간 더 이상 트램 도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밝힘

2016년 원희룡 제주도지사 < '제주교통 혁신계획' 발표 - 트램, 모노레일 등 신교통수단 도입계획 밝힘
2017.5.31

제12회 제주포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지속가능한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친환경 광역교통 인프라 구축방안' 세션에서 친환경 광역교통 인프라 구축 방안 발표
제주공항~중문관광단지 (39.70km) 자기부상열차

2017.12 제주도 > 주민참여형 신교통수단 품평회 개최 (한국교통연구원, 현대로템, 알스톰 등 참여)
2019.3 제주도 > 제주도 도시교통정비중기계획 최종보고회 개최 (5개노선, 바이모달트램의 경제성이 높음)
2019.12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에 신교통수단 포함
(대중교통 수송 분담율이 20%에 도달할 경우 도민의견 수렴과 타당성 검토 등의 절차를 거쳐 추진하기로 함)

2021.1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제주형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JDC 미래전략수립용역에 수소전기트램 포함
2022.1

제주도 >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2022~2031)에 제주 트램(18km) 포함

  • 단기노선: 제주공항-원도심-제주항 6km
  • 장기노선: 제주항-신제주 12km
2022.4 제4차 대중교통계획에 반영
2022.5 오영훈 제주도지사 후보 수소트램 공약
2022.9.19 제주도 > 사전타당성조사 착수 (용역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22.10.21 사전타당성조사 검토 용역 착수보고회
2022.12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트램 역세권 개발 사업 시행계획 국토교통부 장관 승인

2023.2.10 제1회 제주형 수소트램 활성화를 위한 정책포럼
2023.7.4 제2회 제주형 수소트램 활성화를 위한 정책포럼에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제주트램 도입을 위한 사전타당성 검토용역 중간보고' 발표
2023.9.14

사전타당성조사 검토 용역 최종보고회 (14시 제주도청 4층 한라홀)

 

미래철도DB 해설

  • 제주도 시내에 신교통 수단을 놓는 사업. 무가선트램이나 바이모달트램 같은 노면전차형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노면전차형 시스템은 접근성이 매우 좋고, 건설비용이 저렴하며, 시스템 구축 공기가 짧은 장점이 있다.
  • 하지만 일정 이상의 사업비가 드는 만큼 경제성 논란에서 자유롭기는 쉽지 않다.
  • 비록 경제성이 떨어지더라도 트램이 가져올 유무형의 효과가 좀더 적극적으로 검토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update : 2023/9/15)


사진모음

2023년 노선도 (저작권: 제주특별자치도)

노선안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