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철도 DB

초기 ] [ 지역별 ] [ 개통시기별, 개통된 것 ]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BuTX)


▶노선안내

미래철도DB 노선이름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 (BuTX)

사업상황

  구상

사업성격

신설

영업기관

-

건설기관

-

사업구간(역)

가덕도신공항-명지[하단녹산선, 강서선]-하단[1호선, 사상하단선, 하단녹산선]-부산(북항)[경부선,1호선, C-bay Park선]-센텀시티[2호선,동해선(벡스코)]-오시리아 (롯데아웃렛 동측 사거리)   6개역

노선길이

47.9km

노선규격

전기

  수소연료전지

신호

  -

배선

  복선

차량

   수소전동차  (4량 1편성, 폭 2.8m)
RH 운전시격 8분,  24시간 운행

개통시기

  -

관련노선

강서선하단-녹산선, 사상-하단선  , C-Bay - Park선,  동해선 복선전철화 (남부1), 가덕도 신공항 접근철도

참고사항

  • 역간거리:  가덕도신공항-16.5km(4.9km 가덕도 신공항 접근철도 공용)-명지-5.2km-하단-7.8km-부산(북항)-10.0km-센텀시티-8.4km-오시리아
  • 소요시간:  가덕도신공항-7.25분-명지-3.25분-하단-4분-부산(북항)-5분-센텀시티-4.25분-오시리아  (전구간 25.75분)
  • 지하 40m 대심도 터널, 엘리베이터로 승강장-지상 이동(신안산선 방식)

 

▶사업상황

2021.4 박형준 부산시장 '어반루프' 공약
2021.12 부산시 > 도심형 초고속 교통인프라(어반루프) 도입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 착수
  가덕도신공항-에코델타시티-북항-동부산 (55km),  가덕도신공항-북항-동부산(47km)

2022.12.12

부산시 >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 도입 시민공청회

 

미래철도DB 해설

  • 부산 교통난 해소, 가덕도 신공항 접근 교통망, 2030 부산세계박람회 기반시설, 저탄소 친환경 신교통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계획중인 부산의 급행철도
  • 수도권의 GTX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당초 하이퍼튜브를 고려하였으나 아직 기술이 부족하다보니, 한단계 낮춘 차세대 철도인 수소전동차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수송력이나 속도는 기존 GTX급 차량과 차이가 없으나, 전차선이 불필요하여 터널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토목공사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update : 2022/12/12)


사진모음

노선안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