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철도 DB |
[ 초기 ] [ 지역별 ] [ 개통시기별, 개통된 것 ] |
▶노선안내 |
||
미래철도DB 노선이름 |
충청권 광역철도(대전권 광역전철) |
|
사업상황 |
|
|
사업성격 |
2복선화, 기존선의 광역전철화 |
|
영업기관 |
|
|
건설기관 |
국가철도공단 |
|
사업구간(역) |
|
|
노선길이 |
|
|
노선규격 |
전기 |
교류 25000V |
신호 |
ATP |
|
배선 |
|
|
차량 |
2량 1편성 전동차 총 8편성 |
|
개통시기 |
2024년 말 |
|
관련노선 |
||
참고사항 |
|
▶사업상황 |
|
2008.9~2009.1 | 충청권 광역철도 기본 구상 |
2008. 12.22 |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권 호남선 활용 순환형 전철 개발 발표 |
2009.2~2011.3 |
대전시 > 대전권 광역전철 계획을 청와대에 건의 |
2009년 |
한국교통연구원 > ‘대전광역시 도시철도 기본계획 변경 승인 및 타당성 검토 용역’ - 도시철도 2· 3호선 건설· 운영 기본계획 및 타당성 평가 분석, 호남선 활용방안 분석, 1호선 연장선에 대한 타당성 분석 |
2011.1 |
국가기간교통망계획 2차 수정계획에 장기계획으로 포함 (계룡~청주공항 31.5km) |
2011.4.3 |
국토해양부 >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후반기(2016~2020) 착수사업으로 포함 |
2011.5.31 |
대전시 -> 국토해양부: 예산편성 시· 도협의회, 본 노선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신청 건의 |
2012.2 | 박근혜 대통령 대선 공약 |
2013.4~11 |
한국철도시설공단 > 사전타당성조사
|
2014.1 | 국토교통부 -> 기획재정부 :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
2014.4 |
기획재정부 > 2014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
2014.5 |
한국개발연구원 > 예비타당성조사 착수 |
2015.8.24 | 국토교통부 고시 2015-602호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라 광역철도로 지정 |
2015.11.25 |
대전시 > 당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음을 밝힘 (오정역 건설 안함) |
2016.2 |
국토교통부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교통연구원 주최)에 포함
|
2016.3~2018.11 | 기본계획 수립 추진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
2016.6 |
국토교통부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
2017.1.25 | 국토교통부 >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에 포함 (논산-조치원 83.1km) |
2017.3.21 |
충청권 광역철도(계룡~신탄진) 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공청회 (대전평생교육진흥원 컨퍼런스홀) |
2017.5~2018.4 | 기획재정부 > 설계적정성 검토 (오정역 신설 여부 결정) |
2017.11 |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
2018.7.3 | 기획재정부 > 총사업비 조정절차 통과 (오정역 건설함) |
2018.11 | 지방재정 중앙 투자심사위 심사 통과 |
2018.12.19 |
국토교통부 제2018-803호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계룡~신탄진)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
2019.7 | (신탄진-조치원 구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세종시, 대전시, 충북도 >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착수 |
2019.10.31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윈회 > 광역교통비전 2030 에 포함 |
2019.12 |
노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착수 |
2021.4.21 | 국토교통부, 대전시, 충청남도,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건설사업의 원활한 건설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1.4.22 |
국토교통부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에 포함 |
2021.6.29 |
국토교통부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
2022년 | 착공 예정 |
2024년 말 | 개통 예정 |
▶미래철도DB 해설 |
|
(update : 2021/6/29)
광역교통비전 2030 자료그림 (저작권: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노선도 (저작권 :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기획단)